User:JanAson/trans-list/인지심리학과 인지신경과학/인지심리학과 뇌

From Wikibooks, open books for an open world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들어가는 글[edit | edit source]

Imagine the following situation: A young man, let’s call him Knut, is sitting at his desk reading some papers which he needs to complete a psychology assignment. In his right hand he holds a cup of coffee. With his left one he reaches for a bag of sweets without removing the focus of his eyes from the paper. Suddenly he stares up to the ceiling of his room and asks himself: “What is happening here?”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상상해보자. 한 젊은이(이름은 크누트라고 하자)가 책상 앞에 앉아 심리학 과제를 하기 위해 논문을 읽고 있다. 오른손에는 커피 한 잔을 들고, 논문에서 눈을 떼지 않은 채로 과자 봉지를 향해 왼손을 뻗는다. 문득 그는 천장을 올려다보며 이렇게 자문한다.

"대체 여기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거지?"

Probably everybody has had experiences like the one described above. Even though at first sight there is nothing exciting happening in this everyday situation, a lot of what is going on here is highly interesting particularly for researchers and students in the field of Cognitive Psychology. They are involved in the study of lots of incredibly fascinating processes which we are not aware of in this situation. Roughly speaking, an analysis of Knut's situation by Cognitive Psychologists would look like this:

아마도 우리 모두는 위와 비슷한 경험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언뜻 보아 이 일상적인 상황에 재미있는 점이라곤 없는 것 같지만, 여기서 일어나고 있는 많은 일이 (특히) 인지심리학이라는 분야의 연구자와 학생들에게는 매우 흥미로운 것들이다. 이들은 우리는 자각하지 못하는 믿을 수 없으리만큼 매력적인 과정들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크누트의 상황에 대한 인지심리학자들의 분석은 대강 아래와 같은 식이 될 것이다.

Knut has a problem, he really needs to do his assignment. To solve this problem, he has to perform loads of cognition. The light reaching his eyes is transduced into electrical signals traveling through several stations to his visual cortex. Meanwhile, complex nets of neurons filter the information flow and compute contrast, colour, patterns, positions in space, motion of the objects in Knut's environment. Stains and lines on the screen become words; words get meaning, the meaning is put into context, analyzed on its relevance for Knut's problem and finally maybe stored in some part of his memory. At the same time an appetite for sweets is creeping from Knut's hypothalamus, a region in the brain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needs of an organism. This appetite finally causes Knut to reach out for his sweets.

크누트에게는 문제가 있는데, 과제를 꼭 해야만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는 막대한 양의 인지 처리를 수행한다. 그의 눈으로 들어오는 빛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여러 구간을 지나 시각령(visual cortex)으로 보내진다. 그 동안 복잡한 신경망들은 정보흐름을 필터링하고 대조, 색상, 패턴, 공간 속의 위치, 크누트 주변에 있는 물체들의 움직임을 계산해낸다. 화면에 나타난 얼룩과 선들은 글자가 되고, 글자는 의미가 붙고, 의미는 맥락 속에 놓여져 크누트의 문제와 관련이 있는지 분석되고, 마침내는 어쩌면 기억공간의 몇몇 일부분에 저장될 것이다. 그와 동시에 과자를 먹고 싶은 욕구가 신체 영양상태의 조절을 책임지는 뇌의 구역인 시상하부에서 올라온다. 이 욕구로 인해 크누트는 끝내 과자를 향해 손을 뻗는다.

Now, let us take a look into the past to see how Cognitive Psychologists developed its terminology and methods to interpret ourselves on the basis of brain, behaviour and theory.

이제

인지심리학의 역사[edit | edit source]

Early thoughts on the other hand, claimed that knowledge was stored in the brain.

르네상스와 그 이후[edit | edit source]

Renaissance philosophers of the 17th century generally agreed with Nativists and even tried to show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brain graphically. But also empiricist philosophers had very important ideas. According to David Hume, the internal representations of knowledge are formed obeying particular rules. These creations and transformations take effort and time. Actually, this is the basis of much current research in Cognitive Psychology. In the 19th Century Wilhelm Wundt and Franciscus Cornelis Donders made the corresponding experiments measuring the reaction time required for a response, of which further interpretation gave rise to Cognitive Psychology 55 years later. 17세기의 르네상스 철학자들은 대체로 생득론을 지지했으며, 심지어 뇌의 구조와 기능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려고 하기도 했다. 하지만 경험주의 철학자들에게도 아주 중요한 아이디어가 있었다. 데이비드 흄에 따르면 지식의 내적 표상은 특정한 규칙에 따라 형성된다. 이 창조와 변형의 과정에는 노력과 시간이 걸린다. 실제로 이것은 많은 현대 인지심리학 연구의 근본이 되는 생각이다. 19세기에는 빌헬름 분트Franciscus Cornelis Donders가 반응에 요구되는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는데, 해당 실험의 발전된 해석은 55년후 인지심리학을 일으키게 된다.

20세기와 인지혁명[edit | edit sourc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 radical turn in the investigation of cognition took place. Behaviourists like Burrhus Frederic Skinner claimed that such mental internal operations - such as attention, memory, thinking – are only hypothetical constructs that cannot be observed or proven. Therefore, Behaviorists asserted, mental constructs are not as important and relevant as the study and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ur (directly observable data) in response to some stimulus. According to Watson and Skinner, man could be objectively studied only in this way. The popularity of Behavioralist theory in the psychological world led investigation of mental events and processes to be abandoned for about 50 years. 20세기의 전반 반세기 동안, 인지 연구에 근본적인 전환이 일어났다. 스키너와 같은 행동주의자들은 주의, 기억, 사고와 같이 심리 내적인 작용들은 관찰하거나 증명될 수 없는 가설적 구성물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행동주의자의 주장으로는 심리적 구성물들은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행동(직접적으로 관찰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연구와 실험적 분석만큼 중요하거나 의미있는 것이 아니다. 왓슨과 스키너에 따르면 인간에 대한 객관적인 탐구는 오직 이러한 방법으로만 가능하다. 심리학계 내부에 계속된 행동주의 이론의 인기 때문에 약 50년동안 심적 현상과 작용에 대한 연구는 버려지게 되었다.

In the 1950s scientific interest returned again to attention, memory, images, language processing, thinking and consciousness. The “failure” of Behaviourism heralded a new period in the investigation of cognition, called Cognitive Revolution. This was characterized by a revival of already existing theories and the rise of new ideas such as various communication theories. These theories emerged mainly from the previously created information theory, giving rise to experiments in signal detection and attention in order to form a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50년대에는 과학적 관심이 주의와 기억, 심상, 언어처리, 사고, 의식으로 돌아온다. 행동주의의 "실패"는 인지혁명이라 불리는, 인지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음을 예고했다. 이것은 이미 존재하던 이론의 부활과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같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발흥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이 이론들은 예전에 창시된 정보이론에서 출현한 것으로, 신호검출에 관한 실험에 활기를 띄게 하고, 의사소통의 이론적, 실용적 이해를 형성하고자 하는 점에 주의를 끌게 했다.

Modern linguists suggested new theories on language and grammar structure, which were correlated with cognitive processes. Chomsky’s Generative Grammar and Universal Grammar theory, proposed language hierarchy, and his critique of Skinner’s “Verbal Behaviour” are all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Cognitive Science. Theories of memory and models of its organization gave rise to models of other cognitive processes. Computer science , especially artificial intelligence, re-examined basic theories of problem solving and the processing and storage of memory, language processing and acquisition. 현대 언어학자들은 인지처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언어와 문법구조에 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 촘스키의 생성문법과 보편문법 이론, 언어 위계, 스키너의 "언어적 행동(Verbal Behaviour)"에 대한 그의 비판은 모두 인지과학의 역사의 획기적인 사건으로 꼽힌다. 컴퓨터과학, 특히 인공지능은 문제해결과 기억의 작용 및 저장, 언어의 처리와 습득에 대한 기본 이론을 재검토했다.

Neuroinformatics, which is based on the natural structure of the human nervous system, tries to build neuronal structures by the idea of artificial neurons. In addition to that, Neuroinformatics is used as a field of evidence for psychological models, for example models for memory. The artificial neuron network “learns” words and behaves like “real” neurons in the brain. If the results of the artificial neuron network are quite similar to the results of real memory experiments, it would support the model. In this way psychological models can be “tested”. Furthermore it would help to build artificial neuron networks, which posses similar skills like the human such as face recognition. 신경정보과학은 인간 신경계의 자연구조에 기반한 학문으로, 인공뉴런의 개념을 이용해 신경계 구조를 만들어보려고 하는 분야이다. 신경정보과학은 심리학적 모형을 증명하는 분야로 이용되고 있는데, 기억에 관한 모형을 예로 들 수 있다. 인공신경망은 단어를 '학습'하며, 뇌에 들어있는 '진짜' 뉴런들과 같이 행동한다. 인공신경망의 결과가 실제 기억실험의 결과와 매우 비슷하게 나온다면, 그 모형은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심리학의 이론적 모형들을 '시험'해볼수 있다. 더 나아가서 인공신경망이 안면인식(face recognition)과 같은 기술에서 인간과 비슷한 능력을 갖게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f more about the ways humans process information was understood, it would be much simpler to build artificial structures, which have the same or nearly the abilities. The area of cognitive development investigation tried to describe how children develop their cognitive abilities from infancy to adolescence. The theories of knowledge representation were first strongly concerned with sensory inputs. Current scientists claim to have evidence that our internal representation of reality is not a one-to-one reproduction of the physical world. It is rather stored in some abstract or neurochemical code. Tolman, Bartlett, Norman and Rumelhart made some experiments on cognitive mapping. Here, the inner knowledge seemed not only to be related to sensory input, but also to be modified by some kind of knowledge network modeled by past experience. 인간이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더 많이 이해할수록, 인간과 같거나 비슷한 능력을 갖춘 인공적 구조를 만들기는 더욱 간단해질 것이다. 인지적 발달에 관한 연구분야에서는 어떻게 어린이들이 유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인지능력을 발달시키는지 기술하려 노력했다. 지식표현 이론은 감각적 입력에 가장 많이 관련되어있는 분야이다. 현재의 과학자들은 현실에 대한 우리의 내적인 표상이 물리적 세계를 그대로 복제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그렇기보다는 무언가 추상적인 관념이나 신경화학적인 코드로 저장되는 것에 가깝다. 톨만(Tolman)과 바틀렛(Bartlett), 노먼(Norman), 러멜하트(Rumelhart)는 인지적 표상에 관한 몇가지 실험을 하였다. 그 실험에서, 내적인 지식은 감각적 입력에만 관련되어있지 않았고, 과거의 경험에 의해 구성된 일종의 지식네트워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졌다.

Newer methods, like Electroencephalography (EEG)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have given researchers the possibility to measure brain activity and possibly correlate it to mental states and processes. All these new approaches in the study of human cognition and psychology have defined the field of Cognitive Psychology, a very fascinating field which tries to answer what is quite possibly the most interesting question posed since the dawn of reason. There is still a lot to discover and to answer and to ask again, but first we want to make you more familiar with the concept of Cognitive Psychology. 뇌파 전위 기록술(Electroencephalography;EEG)과 기능자기공명영상(fMRI)과 같은 새로운 기법은 연구자들에게 두뇌 활동을 측정할 수 있게 해주었고, 가능컨데 이 두뇌활동을 심리적 상태와 과정에 연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인간의 인지와 심리에 대한 이러한 모든 새로운 접근법은 인지심리학의 분야를 정의한다. 이 아주 매력적인 분야는 계몽의 시대(the dawn of reason)로부터 제기돼 왔던 아마도 가장 흥미로운 질문들에 답하려 노력하고 있다. 아직 발견하고 답변하고 다시 물어볼 것들이 많이 있지만, 우선 인지심리학이라는 개념에 대해 좀더 알아보기로 한다.

인지심리학이란 무엇인가?[edit | edit source]

The easiest answer to this question is: “Cognitive Psychology is the study of thinking and the processes underlying mental events.” Of course this creates the new problem of what a mental event actually is. There are many possible answers for this: 이 질문에 대한 가장 쉬운 질문은 "인지심리학은 사고과 심적 현상 아래에 있는 절차에 대한 학문이다"가 될 것이다. 물론 이것은 '심적 현상이 무엇인가'라고 하는 또 다른 문제를 만든다. 질문에 답하는 방법은 이와 같이 많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Let us look at Knut again to give you some more examples and make the things clearer. He needs to focus on reading his paper. So all his attention is directed at the words and sentences which he perceives through his visual pathways. Other stimuli and information that enter his cognitive apparatus - maybe some street noise or the fly crawling along a window - are not that relevant in this moment and are therefore attended much less. Many higher cognitive abilities are also subject to investigation. Knut’s situation could be explained as a classical example of problem solving: He needs to get from his present state – an unfinished assignment – to a goal state - a completed assignment - and has certain operators to achieve that goal. Both Knut’s short and long term memory are active. He needs his short term memory to integrate what he is reading with the information from earlier passages of the paper. His long term memory helps him remember what he learned in the lectures he took and what he read in other books. And of course Knut’s ability to comprehend language enables him to make sense of the letters printed on the paper and to relate the sentences in a proper way. 좀더 예를 들어서 확실히 하기위해 크누트씨에게 다시 시선을 돌리기로 하자. 그는 논문을 읽는데 집중해야 한다. 따라서 그의 모든 주의는 그의 시지각 경로를 통해 지각되는 단어와 문장에 집중된다. 다른 기관으로 들어오는 자극과 정보들은 - 아마 길거리 소음이나 창문가에 기어다니는 파리겠지만 - 이 상황에 별로 상관이 없으므로, 더 적은 주의만을 받게 된다. 많은 고등 인지능력도 탐구의 대상이다. 크누트씨의 상황은 문제해결에 대한 고전적인 예로 설명될 수 있다. 그는 그의 현재상태(과제가 안 끝남)에서 목적상태(과제가 끝남)으로 가야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여러 기관들을 가지고 있다. 크누트씨의 단기기억과 장기기억 작용은 활발하다. 지금 읽고 있는 부분과 바로 전에 읽고 있었던 부분의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단기기억이 필요하다. 장기기억은 전에 들은 강의와 읽은 책의 내용을 기억하게 해준다. 그리고 물론 언급해야겠지만, 크누트씨가 가진 언어이해능력은 종이에 인쇄된 글자의 의미를 파악하고, 문장들을 올바른 방법으로 연관시킬 수 있게 해준다.

This situation can be considered to reflect mental events like perception, comprehension and memory storage. Some scientists think that our emotions cannot be considered separate from cognition, so that hate, love, fear or joy are also sometimes looked at as part of our individual minds. Cognitive psychologists study questions like: How do we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outside world? How do we store it and process it? How do we solve problems? How is language represented? Here is a more detailed overview: 이 상황은 지각, 이해, 기억과 같은 심적 현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일부 과학자들은 감정도 인지작용과 분리해서 볼 수 없다고 생각해서, 증오나 사랑, 두려움, 기쁨도 각각이 가진 정신의 일부분으로 본다. 인지심리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탐구한다. 우리는 어떻게 외부세계에 대한 정보를 얻는가? 이 정보를 어떻게 저장하고 처리하는가?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가? 언어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더 자세한 개요를 살펴보자: (다음에 뭔가 나와야할 것같은데 원문이 미완성인가 봄)

We hope you now have some idea what Cognitive Psychology is and what is involved in it. 이제 인지심리학이 무엇이고 그 안에 어떤 주제들이 있는지 좀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길 바란다.

신경과학과의 관계[edit | edit source]

인지신경심리학[edit | edit source]

Of course it would be very convenient if we could understand the nature of cognition without the nature of the brain itself. But unfortunately it is very difficult if not impossible to build and prove theories about our thinking in absence of neurobiological constraints. Neuroscience comprises the study of neuroanatomy, neurophysiology, brain functions and related psychological and computer based models. For years, investigations on a neuronal level wer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ose on a cognitive or psychological level. The thinking process is so vast and complex that there are too many conceivable solutions to the problem of how cognitive operation could be accomplished. 물론 뇌의 본질에 대한 이해 없이 인지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었더라면 아주 편리했을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신경생물학적인 제약이 없는 상태에서 사고에 대한 이론을 만들고 검증하는 것은 아주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신경과학은 신경해부학과 신경생리학, 뇌의 기능 및 관련된 심리학적, 전산학적 모형에 대한 연구 등으로 구성된다. 수 년간 뉴런 수준에서의 연구는 인지적, 심리학적 수준에서의 연구와 완전히 분리되어있었다. 사고작용은 너무나 방대하고 복잡해서 인지적 작업이 어떻게 이뤄질 수 있는가에 대한 생각할 수 있는 답변이 너무나도 많다.

Neurobiological data provide physical evidence for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investigation of cognition. Therefore it narrows the research area and makes it much more exact. The correlation between brain pathology and behaviour supports scientists in their research. It has been known for a long time that different types of brain damage, traumas, lesions, and tumours affect behaviour and cause changes in some mental functions. The rise of new technologies allows us to see and investigate brain structures and processes never seen before. This provides us with a lot of information and material to build simulation models which help us to understand processes in our mind. As neuroscience is not always able to explain all the observations made in laboratories, neurobiologists turn towards Cognitive Psychology in order to find models of brain and behaviour on an interdisciplinary level – Cognitive Neuropsychology. This “inter-science” as a bridge connects and integrates the two most important domains and their methods of research of the human mind. Research at one level provides constraints, correlations and inspirations for research at another level. 신경생물학적 자료는 인지를 탐구하는 이론적 접근에 대한 물리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연구분야는 더욱 세분화되고 더욱 정확하게 된다. 신경질환과 행동에 상관관계는 과학자들의 연구를 돕는다. 여러가지 다른 종류의 뇌손상, 트라우마, 장애, 종양 등은 행동에 영향을 주며 마음의 기능에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이 오랫동안 알려져 있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전에는 볼 수 없었던 뇌의 구조와 작용을 보고 연구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을 통해 마음의 작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시뮬레이션 모형에 필요한 많은 정보와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신경과학 그 자체로는 실험실에서 관찰한 모든 것을 다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신경과학자들은 인지심리학으로 눈을 돌려 학제 수준에서 뇌와 행동에 대한 모델을 찾게 되었으며, 그 결과물이 바로 '인지신경심리학(Cognitive Neuropsychology)'이다. 이 '중간과학(inter-science)'은 다리로서 두가지 가장 중요한 영역과 그 인간 마음에 대한 연구 방법을 연결하고 통합한다. 연구는 한 수준에서는 제약을 부여하고, 다른 수준에서는 상관 관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영감을 제공한다.(수정필요)

신경해부학적 기초[edit | edit source]

The basic building blocks of the brain are a special sort of cells called neurons. There are approximately 100 billion neurons involved in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brain. When we look at the brain superficially, we can't see these neurons, but rather look at two halves called the hemispheres. The hemispheres themselves may differ in size and function, as we will see later in the book, but principally each of them can be subdivided into four parts called the lobes: the temporal, parietal, occipital and frontal lobe. This division of modern neuroscience is supported by the up- and down-bulging structure of the brain's surface. The bulges are called gyri (singular gyrus), the creases sulci (singular sulcus). They are also involved in information processing. The different tasks performed by different subdivisions of the brain as attention, memory and language cannot be viewed as separated from each other, nevertheless some parts play a key role in a specific task. For example the parietal lobe has been shown to be responsible for orientation in space and the relation you have to it, the occipital lobe is mainly responsible for visual perception and imagination etc. Summed up, brain anatomy poses some basic constraints to what is possible for us and a better understanding will help us to find better therapies for cognitive deficits as well as guide research for cognitive psychologists. It is one goal of our book to present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the different levels on which the brain that can be described, and their implications for Cognitive Neuropsychology. 뇌를 이루고 있는 기본 단위는 뉴런이라고 하는 특별한 종류의 세포다. 대략적으로 1000억 개 정도의 뉴런이 뇌에서 일어나는 정보처리에 참여하고 있다. 겉으로만 보면, 이 뉴런들은 보이지 않고 대신 대뇌반구라고 부르는 반반씩 나뉜 두 부분이 보인다. 나중에 살펴보겠지만, 두 반구는 서로 크기와 기능에 있어서 다른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그 반구 각각은 엽(葉, lobe)이라고 하는 부분으로 다시 나눌 수 있는데, 나열하자면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 전두엽이다. 이러한 현대 신경과학의 구분은 뇌 표면의 주름에 따라 밖으로 튀어나오고, 안으로 들어가는 접힌 구조에 기반한다. 튀어나온 부분을 회(回, gyrus)라고 하고, 들어간 주름 부분을 구(溝, sulcus)라고 한다. 그런 것들도 정보처리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다른 종류의 작업은 다른 구역에서 이뤄지고 있긴 하지만 주의와 기억, 언어는 서로 분리해서 볼 수 없다. 그래도 일부 부분이 특정한 작업에는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두정엽은 공간 안의 방향과 그것에 대한 자신과의 관계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져왔고, 후두엽은 시각인지와 심상 등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요약하자면, 뇌의 해부구조는 인간에게 무엇이 가능한지에 대한 기본적인 제약을 이루고 있고, 뇌에 대한 더 나은 이해는 인지적 장애를 위한 더 나은 치료법을 찾는 것뿐만 아니라 인지심리학자들의 연구를 안내하는 지도로서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의 한가지 목표는 기술될 수 있는 뇌의 서로 다른 수준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 및 인지신경심리학에 대한 함의를 보여주는 것이다.

연구방법[edit | edit source]

Newer methods, like EEG and fMRI etc. allow researchers to correlate the behaviour of a participant in an experiment with the brain activity which is measured simultaneously. It is possible to record neurophysiological responses to certain stimuli or to find out which brain areas are involved in the execution of certain mental tasks. EEG measures the electric potentials along the skull through electrodes that are attached to a cap. While its spatial resolution is not very precise, the temporal resolution lies within the range of milliseconds. The use of fMRI benefits from the fact the increased brain activity goes along with increased blood flow in the active region. The haemoglobin in the blood has magnetic properties that are registered by the fMRI scanner. The spatial resolution of fMRI is very precise in comparison to EEG. On the other hand, the temporal resolution is in the range of just 1-2 seconds. EEG, fMRI 등과 같은 새로운 연구방법은 연구자들이 실험에서 보이는 피실험자의 행동을 동시에 측정되는 뇌의 활동과 연결시킬 수 있게 해준다. 특정 자극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반응들을 기록할 수도 있고, 뇌의 구역들이 어떤 인지적 작업을 실행하는데 연관되어있는지 알아낼 수도 있다. EEG는 모자에 붙어있는 전극을 통해 두개골을 따라 흐르는 전기 포텐셜을 측정한다. 공간 해상도(spatial resolution)가 아주 높지는 않은 반면에 시간 해상도(temporal resolution)는 수 밀리세컨드의 범위 안으로 들어간다. fMRI는 뇌의 활동량이 증가하는 곳을 따라 뇌의 혈류량이 함께 증가한다는 사실을 이용한 것이다.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은 fMRI 스캐너로 인식할 수 있는 자기적 특성을 가졌다. fMRI의 공간 해상도는 EEG와 비교해서 매우 높다. 한편으로 시간 해상도는 1-2초 범위 안에 들어간다.

결론[edit | edit source]

Remember the scenario described at the beginning of the chapter. Knut was asking himself “What is happening here?” It should have become clear that this question cannot be simply answered with one or two sentences. We have seen that the field of Cognitive Psychology comprises a lot of processes and phenomena of which every single one is subject to extensive research to understand how cognitive abilities are produced by our brain. In the following chapters of this WikiBook you will see how the different areas of research in Cognitive Psychology are trying to solve the initial question raised by Knut. 이 장의 처음 부분에 나왔던 이야기를 다시 떠올려보자. 크누트씨는 스스로 "여기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거지?"라고 묻고 있었다. 이젠 이 질문에 단순히 한두 문장으로 답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해졌을 것이다. 지금까지 인지심리학이라는 분야가 각각의 단위들이 우리 뇌에서 인지능력에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이해하기 위한 광대한 연구의 주제가 되는 많은 심리적 작용과 현상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보았다.(읭...ㅠ) 다음 장에서는 인지심리학의 다른 연구분야들이 어떻게 쿠누트씨가 처음에 했던 질문을 해결하려고 하는지 볼 것이다.